맨위로가기

모라 (언어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라(mora)는 언어학에서 음절의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모라는 음운 구조에 따라 결정되며, 모든 언어가 모라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음절 초두 자음은 모라를 나타내지 않고, 음절 핵은 단모음 1모라, 장모음 또는 이중 모음은 2모라를 나타낸다. 음절 종성은 언어에 따라 모라를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모라를 기반으로 하는 운율 강세 시스템은 양에 민감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모라는 고대 그리스어, 길버트어, 하와이어, 일본어, 루간다어, 고대 영어, 산스크리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일본어는 모라를 음운 체계의 기초로 사용하며, 하이쿠와 같은 정형시의 음절 수를 셀 때 모라를 기준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성학 -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인공지능과 심층 학습의 발전으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문제가 남아있다.
  • 음성학 - 음성 합성
    음성 합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TTS)로, 기계 장치에서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으며 통계적 모델과 심층 학습 기반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다.
모라 (언어학)
언어학적 정보
음성 단위음운론의 단위
지속 시간언어마다 다름
예시오사카 (O-o-sa-ka, 4모라)
정의 및 특징
정의음절의 길이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 단위
역할음절 구조 및 음운 현상에 영향
그리스어 어원시간 (chrónos)
언어별 모라 계산
일본어대부분의 음절은 1모라
장음, 촉음, 撥音도 1모라
예: きゃ, きゅ, きょ는 각각 2모라
일본어 예외ん (n)은 단독으로 1모라 형성
っ (작은 'tsu')도 1모라
拗音 (ゃ, ゅ, ょ)은 앞 음절과 합쳐져 1모라 취급
영어음절의 "무게"에 따라 모라 수가 다름
음절 무게
경음절1모라
중음절2모라
중음절 예시영어의 "cat" (CVC), "sea" (CVV)

2. 정의 및 형성

모라는 음절의 무게를 결정하는 단위로, 음절보다 작고 음소보다 큰 단위이다. 모라의 형성은 언어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단일 모라 음절을 "경음절", 2모라 음절을 "중음절", 3모라 음절(이러한 음절을 가진 언어의 경우)을 "초중음절"이라고 한다. 고대 영어와 같이 일부 언어에서는 최대 4모라까지 음절을 가질 수 있다. 모라적으로 중음절에 강세를 할당하는 운율 강세 시스템은 양에 대한 민감성을 갖는다고 한다.[3]

고전 시의 운율 용어인 라틴어 mŏra|모라la에서 유래했다. (일본어의 "모라" 표기는 라틴어에서 차용한 영어 mora|모라영어에서 음역된 것이다.)

음운의 구조에 의해 정해지는 음절과는 달리, 각 언어 내에서의 음장에 관한 규정에 따른다. 모든 언어가 음절을 가지고 있지만, 음절과는 다른 모라를 가진 언어와 가지지 않은 언어가 있다.

2. 1. 형성 원칙

# 음절 초두(음절의 첫 번째 자음)는 모라를 나타내지 않는다.[1][2]

# 음절 핵은 단모음의 경우 1모라, 장모음 또는 이중 모음의 경우 2모라를 나타낸다. 음절 핵 역할을 하는 자음도 짧으면 1모라, 길면 2모라를 나타낸다. 슬로바키아어는 장모음과 단모음 자음 핵을 모두 가진 언어의 예이다.

# 일부 언어(예: 라틴어일본어)에서 음절 종성은 1모라를 나타내고, 다른 언어(예: 아일랜드어)에서는 그렇지 않다.[1][2]

# 일부 언어에서 핵에 장모음 또는 이중 모음이 있고 종성에 하나 이상의 자음이 있는 음절을 '''3모라'''라고 한다(산스크리트어에서 플루티를 나타내는 음절).[1][2]

2. 2. 음절 무게

일반적으로 1모라 음절은 경음절, 2모라 음절은 중음절, 3모라 음절(이러한 음절을 가진 언어의 경우)은 초중음절이라고 한다. 고대 영어와 같이 일부 언어에서는 최대 4모라까지 음절을 가질 수 있다.

모라적으로 중음절에 강세를 할당하는 운율 강세 시스템은 양에 대한 민감성을 갖는다고 한다.[3]

3. 여러 언어에서의 모라

(도쿄 방언, 현대 하이쿠나 단카의
7·5조, 5·7조 세는 법)음절소(음절 음소) 구분
(도호쿠 방언 등)사루(원숭이)사|루사|루사|루캇파(갓파)캇|파카|ッ|파캇|파초콜릿쵸|코|레|ー|토쵸|코|레|ー|토쵸|코|레|토갓코신분(학교 신문)갓|코|신|분가|ッ|코|ー|시|ン|부|ン갓|코|신|분갓큐신분(학급 신문)갓|큐|신|분가|ッ|큐|ー|시|ン|부|ン갓|큐|신|분칸소쿠(관측)칸|소|쿠카|ン|소|쿠칸|소|쿠카아상(어머니)카|상카|ー|사|ン카|상니이상(형)니|상니|ー|사|ン니|상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단모음은 1모라, 장모음과 이중 모음은 2모라를 가진다. 예각은 단모음 또는 장모음의 마지막 모라에 높은 음높이를, 곡절은 장모음의 첫 번째 모라에 높은 음높이를 나타낸다.[4]

길버트어는 3모라 언어로, 전형적인 운율은 3개의 모라를 포함한다. 이는 언어 간에 매우 드문 경우이며, 운율어 크기에 대한 3항 제약이 보고된 유일한 언어이다.[6]

하와이어에서는 음절과 모라가 모두 중요하며,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모라에 온다. ''oi''와 같은 이중 모음은 두 개의 모라로 구성되지만, 강세는 첫 번째 모라에만 올 수 있다.

루간다어에서 단모음은 1모라, 장모음은 2모라를 구성한다. 단순 자음은 모라가 없으며, 겹자음 또는 비음화 자음은 1모라를 갖는다. 음절은 3모라를 초과할 수 없다.

고대 영어에서 단모음은 1모라, 장모음은 2모라였으며, 음절을 끝내는 자음은 각각 1모라, 쌍자음은 앞 음절에 모라를 추가했다. 음절은 4모라를 초과할 수 없었다.

산스크리트어에서 모라는 로 표현된다.[10] 단모음 'a'는 1 , 장모음 는 2 , 복합 모음 'ai'는 2 의 값을 가진다.

3. 1.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에서 악센트를 결정할 때, 단모음은 1모라를 가지며, 장모음과 이중 모음은 2모라를 가진다. 따라서 긴 ''ē'' (에타: ηgrc)는 ''ee''와 같이 두 개의 단모음 시퀀스로 이해할 수 있다.[4]

고대 그리스어의 음의 높낮이 악센트는 단어 내에서 하나의 모라에만 적용된다. 예각 (έgrc, ήgrc)는 단모음의 유일한 모라 또는 장모음의 마지막 모라(''é'', ''eé'')에 높은 음높이를 나타낸다. 곡절 (ῆgrc)는 장모음의 첫 번째 모라(''ée'')에 높은 음높이를 나타낸다.

3. 2. 길버트어

길버트어는 주로 키리바시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로, 3모라 언어이다.[5] 길버트어의 전형적인 운율은 3개의 모라를 포함하며, 이는 길버트어에서 강세의 단위이다. "길버트어에서 발견되는 종류의 3항 운율 구성 요소는 언어 간에 매우 드물며, 우리가 아는 한, 길버트어는 운율어의 크기에 대한 3항 제약이 있다고 보고된 세계 유일의 언어이다."[6]

3. 3. 하와이어

하와이어에서는 음절과 모라가 모두 중요하다.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모라에 오지만, 강세가 두 개 이상인 단어에서는 마지막 강세만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oi''와 같은 이중 모음은 두 개의 모라로 구성되지만, 강세는 첫 번째 모라에만 올 수 있으며, 이는 ''io''와 같은 다른 모음 시퀀스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제약이다. 즉, 두 개의 모라로 이루어진 음절인 ''oi''와 두 개의 음절인 ''io''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3. 4. 일본어

가나(히라가나가타카나)를 사용한 일본어 표기는 모라 기반 표기 체계를 따른다. 예를 들어, 두 음절 단어 ''''에서 ''ō''는 긴 모음으로 두 개의 모라로 계산된다. 이 단어는 モーラ일본어 ()와 같이 세 개의 기호로 표기되며, 각 기호는 하나의 모라를 나타낸다. 따라서 현대 일본어 하이쿠의 5/7/5 패턴은 음절이 아닌 모라를 따른다.[7]

단어의 모라 수는 가나 표기 시 그래프 수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とうきょう일본어)는 네 개의 모라를 가지지만, 다섯 개의 그래프로 표기된다. 이는 그래프 중 하나(ょ일본어)가 앞의 자음이 구개음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요온''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축약된 소리"(拗音일본어)는 (ゃ일본어), (ゅ일본어), (ょ일본어)와 같은 작은 가나로 표시된다. 이들은 자체적으로 모라를 나타내지 않고 다른 가나에 부착된다. 나머지 모든 그래프는 자체적으로 를 나타낸다.[7]

일본어의 대부분 방언은 음높이 강세 언어이며, 이러한 음높이 강세도 모라를 기반으로 한다.[7]

단독으로 발음할 수 없지만 존재할 때마다 하나의 모라로 계산되는 "특수 모라"(特殊拍일본어)가 있다. 특수 모라는 가나 ''n''(ん일본어)으로 표시되는 "비음"(撥音일본어), 작은 tsu(っ일본어)로 표시되는 "자음 중복"(促音일본어), 긴 모음 기호(ー일본어)로 표시되는 "긴 소리"(長音일본어), 이전 의 소리를 연장하는 단일 모음(びょ「う」いん일본어) 또는 두 개의 연속적인 모음의 두 번째 모음(ばあ「い」일본어)으로 구성된다.[7] 이들은 "어두에 나타나지 않는다", "단독으로 음절을 형성하지 않는다", "서로 연속되는 경우가 드물다" 등의 성질을 지닌다.[9]

3. 4. 1. 예시

(소위 도쿄 방언.
현대의 하이쿠나 단카에서의
「7·5조, 5·7조」의 세는 법)음절소(음절 음소) 방언에서의 구분
(도호쿠 방언 등에서 보이는)사루(원숭이)사|루사|루사|루캇파(갓파)캇|파카|ッ|파캇|파초콜릿쵸|코|레|ー|토쵸|코|레|ー|토쵸|코|레|토갓코신분(학교 신문)갓|코|신|분가|ッ|코|ー|시|ン|부|ン갓|코|신|분갓큐신분(학급 신문)갓|큐|신|분가|ッ|큐|ー|시|ン|부|ン갓|큐|신|분칸소쿠(관측)칸|소|쿠카|ン|소|쿠칸|소|쿠카아상(어머니)카|상카|ー|사|ン카|상니이상(형)니|상니|ー|사|ン니|상


3. 5. 루간다어

루간다어에서 단모음은 1모라를 구성하는 반면 장모음은 2모라를 구성한다. 단순 자음은 모라가 없으며, 겹자음 또는 비음화 자음은 1모라를 갖는다. 음절은 3모라 이상을 가질 수 없다. 루간다어의 성조 체계는 모라를 기반으로 한다.

3. 6. 고대 영어

고대 영어에서 단모음과 단모음은 1모라였고, 장모음과 장모음은 2모라였으며, 음절을 끝내는 자음은 각각 1모라였고, 쌍자음은 앞 음절에 모라를 추가했다. 아마 고대 영어에서 음절은 4모라를 초과할 수 없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4모라 이상이 되었을 때 소리가 손실되었을 것이다. 고대 영어 시대에는 모든 내용어 (그리고 강세를 받는 단음절어)가 최소 2모라 이상이어야 했다.

3. 7.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에서 모라는 로 표현된다.[10] 예를 들어 단모음 'a'(슈와와 같이 발음)는 1 의 값을 가지며, 장모음 는 2 의 값을 가지고, 복합 모음(이중 모음) 'ai' (두 개의 단모음 'a'+'i' 또는 하나의 장모음과 하나의 단모음, 'ā'+'i')는 2 의 값을 가진다. 게다가 (3모라)와 ('긴 ' = 4모라)가 있다.

산스크리트 운율과 운율학은 모라의 가중치를 고려하는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각 단어에서 몇 개의 모라를 분리할 수 있는지에 따라 (लघुsa, '가벼운')와 /(दीर्घsa/गुरुsa, '무거운') 발로 나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행위자' 또는 '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단어 (कर्तृsa)는 단순히 두 개의 음절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순서대로 / 발과 발을 포함한다. 그 이유는 결합된 자음 'rt'가 일반적으로 가벼운 'ka' 음절을 무겁게 만들기 때문이다.

참조

[1] 논문 Compensatory lengthening in moraic phonology 1989
[2] 서적 A theory of phonological weight https://www.degruyte[...] De Gruyter 1985-12-31
[3] 서적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6th ed. Blackwell Publishing
[4] 논문 The Inflectional Accent in Indo-European https://www.jstor.or[...] 1973
[5] 간행물 Trimoraic Feet in Gilbertese 1999-12
[6] 문서 1999
[7] 웹사이트 東外大言語モジュール{{!}}日本語{{!}}発音{{!}}実践編{{!}} 1 サバイバルのためにこれだけは 1.10.1 拍感覚基礎 http://www.coelang.t[...] 2021-07-18
[8] 문서 NHK日本語発音アクセント新辞典
[9] 웹사이트 東外大言語モジュール{{!}}日本語{{!}}発音{{!}}実践編{{!}} 3 ネイティブ並の発音を身につけるために 3.1.1 拍とアクセント http://www.coelang.t[...] 2021-07-18
[10] 서적 Puspika: Tracing Ancient India Through Texts and Traditions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11] 서적 朝倉日英対照言語学シリーズ3 音韻論 朝倉書店
[12] 서적 朝倉日英対照言語学シリーズ3 音韻論 朝倉書店
[13] 웹사이트 東外大言語モジュール|日本語|発音|実践編| 1 サバイバルのためにこれだけは 1.10.1 拍感覚基礎 http://www.coelang.t[...] 2024-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